1. 시각화 목적
•
분석 결과를 근거로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가능한 대시보드를 제작
•
이메일, 웹사이트, 모바일 앱에서 과거 데이터 추세 확인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
•
모바일 앱에서 제공하지 않는 전년, 전월, 지난주 등 특정 기간의 데이터 컬럼 별 증감을 시각화
2. 배경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간단한 비교를 통해 운동 데이터 증감 확인 필요성
데이터 분석 결과를 근거로 운동 데이터 시각화 대시보드 재구성
처음 운동 데이터를 이용해서 시각화 했을 때는 2022년도 대학교 데이터시각화 강의 과제였습니다.
그때 당시 제출한 계획서를 살펴보니 데이터 분석 결과가 아닌 수집한 데이터로 최대한 표현해보고,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보는 내용으로 구성한 것 같습니다.
<계획서 주요 내용>
1.
배경
•
운동 동기부여를 위해 대표적인 음식 열량(kcal)과 비교하여 운동으로 인한 칼로리 소비량을 시각화하고, 목표 심박수와 심박계로 측정한 일별 최소/최대/평균 심박수를 비교한다.
2.
목적
•
운동하는 시간에 심박수 범위를 유지하며 운동하는가?
•
운동 시 소모한 열량은 어떤 음식과 비슷한가?
3.
방법
a.
자료
•
일 단위 개인 심박계 데이터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통한 수집(데이터 116개)
•
밥, 빵, 만두류 및 면류 대표식품 별 열량 데이터(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성분 DB)
b.
분석방법
•
파워 BI를 이용한 시각화 및 데이터 분석
•
운동강도 중강도(70-85%) 설정 시 목표 심박수(152~170회/분)과 비교 분석
개인 이메일, 웹사이트, 모바일 앱에서 과거 데이터 추세를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를 보여주지만 일 별로만 보여주고, 특정 기간(주간, 월간, 전체 등)의 추세는 볼 수 없습니다.
특정 과거 기록을 찾으려면 모바일 앱의 경우에는 무한 스크롤을 해야 하며, 웹 사이트의 경우에는 페이지가 리스트로 구성되어 있어 최대 3개만 보여주기 떄문에 하단의 페이지네이션을 이용해서 몇 번의 시도 끝에 찾을 수 있어 데이터 추적이 불편합니다.
데이터가 충분히 쌓인 후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반영하고, 운동 능력 향상이 되고 있는지 자주 확인할 수 있는 운동 데이터 대시보드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제작했습니다.
3. 결과
4. 그래프 설명
주간 데이터 요약
전체 데이터 요약
5. 근거
•
•
운동 능력 향상 여부 분석 결과에서 데이터 분석 기간 기준으로 평균 점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습니다. 전체 데이터를 운동 유형으로 나누어 본 결과 근력 운동에서 가장 많이 감소했고, 대부분 저강도로 운동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