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석의 목적
•
과거 운동 데이터와 최근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운동 능력 향상 여부를 확인
•
과거 운동 데이터 중 주요 지표가 증가하는 구간을 분석하고, 주요 지표를 구성하는 관련 데이터 탐색
•
2024년 남은 기간의 운동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수립
2. 분석 배경
운동을 꽤 오랫동안 하고 있는데 운동 능력이 향상되었는지 확인하고 싶다.
전문적인 방법도 있지만 간단히 내가 쓰는 운동 서비스에서 얻은 효과를 알고 싶다.
운동을 잘했는지 알고 싶은데 다른 사람들의 평가, 상대적인 비교 말고 정량적인 결과로 보고 싶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꾸준히 부상 없이 운동을 잘할 수 있어야 하고, 그렇게 하려면 ‘운동 잘한다’를 명확히 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운동할 때 땀이 많이 나면 운동을 잘한 것일까?, 아니면 무거운 무게를 쉽게 들면 운동을 잘한 것일까?, 그것도 아니면 몸무게가 줄면 운동 잘한다고 할 수 있나? 그럼 반대의 경우인 체질 상 땀이 안 나고, 적당한 무게로 운동하고, 몸무게는 더 이상 줄일 수 없는 경우 혹은 근육이 늘어나서 몸무게가 늘어나면 운동 못 하는 것일까?
그래서 저는 애매한 말인 ‘운동 잘한다’를 운동 능력 향상으로 보았습니다.
운동 능력은 순발력, 유연성, 근력, 근지구력, 심폐 지구력, 민첩성 등 구성하는 요소가 많고 측정 방법이 복잡하고, 별도로 동작을 연습해야 할 수도 있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으려면 전문적인 실험 환경과 장비가 필요합니다.
결과로 제공되는 값이나 등급이 아무리 신뢰성이 높아도 꾸준히 기록해서 데이터로 만들지 못하면 활용 가치가 없다고 생각해서 전문적인 장비로는 측정을 시도하지 않았습니다.
대신에 꾸준히 이용하고 있는 운동 서비스인 F45의 심박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점수로 그날 운동을 잘했는지 평가해 볼 수 있습니다.
•
F45( 'F'는 Functional 의 앞 글자, '45'는 45분 동안 운동을 한다는 의미)는 기능성 운동, HIIT(High-Intensity Intermittent Training, 고강도 간헐적 운동) 그리고 순환 운동을 콘셉으로 하는 운동입니다. 매일 다양한 동작들과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질병관리청 국가정보포털에서 운동 강도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강도 운동은 매우 쉽고, 낮은 강도의 운동입니다.
중강도 운동은 ‘노래를 부르면서 하기 힘든 정도'의 강도입니다. 가만히 앉아 있을 때보다 3~6배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활동으로 건강한 사람이 빠르게 걷기(시속 4.5~8 km 수준), 탁구, 배드민턴, 볼룸댄스(스포츠 댄스)가 그 예입니다.
고강도 운동은 ‘대화를 하기 힘든 정도’에 해당합니다. 가만히 앉아 있을 때보다 6배 이상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조깅과 달리기(시속 8 km 이상), 자전거로 오르막길을 오르기, 분 당 100회 이상의 줄넘기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
저강도, 중강도, 고강도 운동을 나누는 기준은 데이터 설명의 추가 생성 컬럼 부분 참고
나이가 들수록 신체 기능은 감소되므로 과거에 비해 점수가 유지되거나 조금만 상승해도 운동 능력의 모든 요소는 아니더라도 일부는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F45 라이언하트 사이트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하는 글에서 45점을 기준점으로 운동을 잘했다고 평가할 수 있고, 최대치 심박수의 75% 이상으로 운동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LionHeart not only monitors your heart rate, percentage of maximum effort, and total calories burned, but we take it one step further with a unique points system that rates your performance in a session. If you hit the magic 45 points, then you’ve crushed your workout!
This unique colour coding system allows you to track your progress during your workout on TV displays in the studio. Ideally, you want to be working hard enough to be above 75% of your maximum heart rate.
3. 결과
일부 상승한 구간도 있으나 전체적으로 운동 능력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2023년 1월 ~ 3월과 2024년 1월 ~ 3월의 평균 점수를 비교 시 평균 10.44%p 저하
•
Weight 타입 운동 평균 16.59%p 감소
•
고강도 운동 비율 33.22%p 감소, 저강도 운동 비율 36.04%p 증가
4. 제안
2024년 전체 중강도 운동 비율은 2023년과 비슷한 수치이지만, 저강도 운동 비율은 2023년보다 17.38%p 증가하였습니다. 2024년 3월 기준으로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운동을 지속할 경우 점차 점수가 하락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과적으로 점수가 상승하는 추세가 지속되어야 운동 능력이 과거에 비해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과거 데이터 중에서 점수가 높아진 구간을 분석해서 평균 심박수가 증가하고, 중강도 이상으로 운동하는 시간이 길수록, 최소 심박수가 증할수록 점수가 높아진다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처럼 방안을 수립해 볼 수 있습니다.
1. Weight 타입의 운동인 날 적용 해볼 수 있는 방안
1.
운동하는 중간 쉬는 시간, 물 마시는 시간 등 심박수 현황 TV 화면을 볼 수 있을 때 목표 심박수 값을 참고해서 무게를 올리거나 동일한 시간 내에 횟수를 더 많이 해서 평균 심박수를 올린다.
•
목표 심박수는 아래 표를 참고하여 최소 140 ~ 최대 160으로 설정한다.
[운동 타입 별 평균 심박수(토요일 제외)]
운동 타입 | 고강도일 때 평균 심박수(bpm) | 중강도일 때 평균 심박수(bpm) | 저강도일 때 평균 심박수(bpm) |
Cardio | 160 | 146 | 117 |
Hybrid | 160 | 147 | 106 |
Weight | - | 137 | 116 |
2.
수업 중 쉬는 시간에 동작 준비를 미리 해두고, 시간이 얼마 안 남았을 경우 한 번 더 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운동 시간을 늘린다.
2. 운동 타입에 관계없이 적용해볼 수 있는 방안
1.
수업을 시작하기 전 준비 시간에는 심박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기록을 하지 않으므로 맨몸 운동(버피 테스트, 푸시업, 런지 점프 등)으로 예열하여 미리 심박수를 높여 놓는다.
•
평균 심박수를 올리기 위해서 최대 심박수를 올리는 것보다 최소 심박수를 올리는 게 더 쉬우므로 맨몸 운동을 최소 1세트(15회) ~ 최대 3세트(45회)를 하고 수업을 듣는다.
2.
수업 중 쉬는 시간에는 심박수가 감소하므로 맨몸 운동(버피 테스트, 스피드 스쾃, 런지 점프 등) 해서 조금이라도 심박수 유지하는 시간을 늘린다.
•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쉬는 시간이 짧은 경우 5초 ~ 긴 경우 1분 정도 되므로, 이동을 다하고 나서 또는 다음 동작 준비를 완료한 후에만 한다.
To-do(할 일)을 체크하는 기능이 있고 데이터 다운로드가 가능한 앱(또는 웹 사이트) or 구글 시트에 일별로 1번과 2번 방안에 대한 기록을 하면 “어떤 방법을 적용했더니 점수가 상승했다(효과 없다)”라는 분석을 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 데이터 설명
운동 중에 TV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들의 심박수(bpm), 소비 열량(cal), 점수가 번갈아가며 표시되며, 수업이 종료되고 10분 후 정도에 결과 그래프와 순위 정보(성과)를 개인 메일로 발송해 주고 대시보드에 총점이 표시됩니다.
앱과 웹 사이트에서 과거 기록을 찾아볼 수 있고, 간단한 요약 정보(주, 월, 년, 전체 기준 점수, 칼로리, 수업에 참여한 횟수)를 제공합니다.
•
데이터 수집 :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면 보이는 “ANALYTICS” 메뉴에서 해당하는 데이터를 찾고 Python으로 필요한 정보만 가공하고, 원본 데이터에 없는 정보를 MySQL로 추가하였습니다.
•
데이터 수집 기간 : 2022-08-19부터 2024-03-24까지
•
데이터 개수 :
◦
전체 데이터 639개(스튜디오 휴일, 네트워크 오류, 공휴일 등 포함)
◦
운동 데이터 511개
웹 사이트 제공 정보
추가 생성 항목